2020. 6. 7. 23:13, 개발/다이렉트X11
이 곳은 정말 간소하게 공부한 걸 정리하는 블로그
초기화 하는 법이나 자료는 다른 블로그가 많으니 그곳에서 찾아야 함!
중요한 점
모든 함수를 전부 외울 수 없다 그냥 흐름을 파악하는게 중요하다.
1.다이렉트 X 프레임 워크

일단 삼각형 만들때까지의 프레임워크는 이러하다.
SystemClass에서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에 필요한 WndProc이나 뭐 여러 정보들이 담겨있고,
InputClass에 키보드 인풋이나 뭐 인풋관련된거
GraphicsClass에 그래픽랜더링 관련이 있다.
2.하드웨어(그래픽,모니터)와 연결해주는 작업이 있다.

바로 이 부분
대충 흐름을 보면 어뎁터 지정해서
그래픽 카드의 정보, 모니터 정보 가져오고 주사율 확인하고
어댑터 해제한담에 백버퍼 정보 초기화하고 ( 프론트 버퍼 백버퍼는 다른 블로그참고 )
스텐실 설정하고~
윈도우 핸들 정하고 뭐 이런거함
3.다이렉트X는 어떻게 돌아감?

시스템클래스 Run함수를 통해서 whileLoop가 돈다.
순서[0] . 이니셜라이즈

우선 이니셜라이즈가 일어남
시스템 클래스 이니셜라이즈에 각 클래스들의 이니셜라이즈들을 넣음

각 이니셜라이즈는 자료를 찾아 한 번 훑어보면 알 수 있다.
공통된 점은 버퍼를 생성하고 초기화하고 포인터에 넣어두고(클래스의 맴버변수)
이라는 점
쉐이더는 컴파일한 걸 버퍼에 넣어둔다. (신기)
쉐이더 파트는 워낙 많이 했었기때문에 이 글에서 또 한번 다루진 않겠음

뭐 대충 저런 과정을 거쳐서 코딩하면 삼각형이 완성됨
'개발 > 다이렉트X1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다이렉트 X 모델링표현 (0) | 2020.06.08 |
---|---|
2번째 - 그래픽 렌더링 (0) | 2020.06.07 |
다이렉트 X11 입문 (0) | 2020.06.07 |
Comments, Trackbacks